실험 기구 및 재료
멀티미터, 함수발생기, 오실로스코프, 저항(500 Ω 이상), 축전기(5 μF 이하), 전선, 단자박스
색저항, 인덕터의 L값 및 축전기의 C값 읽는 예
저항: 갈흑적금(1 0 2 5%) = 10 x 102 Ω = 1 kΩ (± 5% )
인덕터(윗면에 인쇄되어 있음): 104 = 10 x 104μH = 105μH = 100mH = 0.1H
축전기: 105 K = 10 x 105pF = 106pF = 1μF = 10-6F (± 10% )
*축전기 숫자 뒤의 알파벳은 오차표시 F(±1%), G(±2%), J(±5%), K(±10%), M(±20%)
실험 방법 요약
♠ 멀티미터를 포함하여 모든 교류측정기기는 제한된 진동수 영역 내에서만 교류전압 또는 교류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이 영역보다 높거나 낮은 진동수의 교류에 대해서는 부정확한 값이 측정되므로 사용 멀티미터의 측정 진동수 범위를 알고 있어야 한다. 실험을 하기에 앞서서 주어진 실험기구를 사용하여 멀티미터의 측정 진동수의 한계를 알아보자.
♠ 주의: 모든 회로를 구성하기 전에 전원장치의 전압을 0 V로 설정하라. 회로를 연결한 후 전압을 조정하라.
실험 1. R 회로
R 회로를 구성하여 전원를 연결한 예
(1) 직류전원장치를 사용하여 직류전원을 저항에 연결하여 R 회로를 구성한다.
(2) 기전력의 크기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측정한다.
(3) 직류전원을 제거하고 함수발생기를 사용하여 교류전원을 연결한다.
(4) 기전력의 크기 및 진동수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측정한다.
실험 2. C 회로
C 회로를 구성하여 전원을 연결한 예
(1) 직류전원장치를 사용하여 직류전원을 축전기에 연결하여 C 회로를 구성한다.
(2) 기전력의 크기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측정한다.
(3) 직류전원을 제거하고 함수발생기를 사용하여 교류전원을 연결한다.
(4) 기전력의 크기 및 진동수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측정한다.
실험 3. R-C 회로
(1) 교류전원으로 함수발생기를 사용하여 저항과 축전기를 그림과 같이 연결하여 직렬 R-C회로를 구성한다.
R-C 회로를 구성하여 전원을 연결한 예
(2) 기전력의 크기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측정한다.
(3) 진동수 f 를 바꾸면서 전류변화를 측정한다.
(4) 임피던스를 계산한다.
(다음 실험은 선택)
(5) 그림과 같이 오실로스코프의 채널 1의 입력선에 인가한 기전력을 연결하고 채널 2의 입력선에 저항 양단을 연결한다.
(6) 각 채널의 파형을 기록하고 파형 사이의 위상차도 기록하여 계산한 위상상수와 비교한다.
오실로스코프, 함수발생기, R-C 회로를 연결한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