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기구 및 재료]
오실로스코프, 함수 발생기, 직류 전원공급기, 디지털 멀티미터
[유의사항]
1. BNC 커넥터 사용법
플러그의 톱니부분을 손끝으로 잡고 돌려서 연결하거나 해제한다. (아래 연결법 그림 참조)
잘못된 방법으로 해제하는 경우 : 케이블 부분을 잡고 당기면 단선이 된다.
2. BNC 커넥터 연결법
플러그의 홈과 잭의 핀의 위치를 확인한다. |
플러그의 홈과 잭의 핀 위치를 일치시킨 후 |
플러그를 밀어서 플러그의 홈 안에 잭의 핀이 들어가도록 한다. |
플러그를 오른쪽으로 90도 회전시킨다. |
3. BNC 커넥터를 분리하는 법
플러그를 잡고 왼쪽으로 90 도 회전시킨 후 당긴다.
[악어클립 활용법]
악어클립의 다양한 활용법
[멀티미터(Multimeter) 사용법]
1. 프로브(probe)
- 프로브는 멀티미터 전용 프로브만 사용하지 않는다.
- 전용 프로브가 아닌 바나나 플러그나 악어클립을 멀티미터 단자에 끼우지 않는다.(단자 파손의 지름길이다.)
- 검정색 프로브는 항상 COM 단자에 연결해야 한다.
2. 측정영역 및 입력단자 연결법
♠ 주의 사항 :
- 모델에 따라 전압, 저항 및 전류 입력단자의 위치가 정반대인 것에 각별히 유의한다.
- 멀티미터로 측정 되는 교류 전압과 교류 전류는 실효값이다.
- 전압과 전류 측정 시 멀티미터의 측정범위는 반드시 측정 예상값 보다 크게 설정 하도록 한다.
- 로터리 스위치가 가리키는 측정범위는 측정할 수 있는 최대 허용값이다.
- 위 두 모델의 멀티미터는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는 기능이 없다. 사용 후 반드시 로터리스위치를 OFF 위치에 두도록 한다.
3. 퓨즈 및 배터리 교체법
- 멀티미터의 모델을 확인한다.
- 멀티미터에 씌여진 고무덮개를 벗겨낸다.
- 멀티미터 뒷면의 나사 2개를 해제한다(30XR-A 모델의 경우 가운데 2개의 나사를 풀어 250mA 퓨즈를 교체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겠지만, 만약 10A 퓨즈를 교체하려면 바깥 4개의 나사를 풀어야 한다.).
- 멀티미터의 뒷 커버를 연다.
- 퓨즈를 제거한 후 저항을 측정하여 퓨즈가 끊어진 것을 확인 한다.(끊어졌다면 무한대의 저항이 측정됨. 끊어지지 않았다면 0 옴에 가까운 저항이 측정 되어야 함)
- 퓨즈가 끊어진 것이 확인되면 새 퓨즈로 교체한다.
-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라면 배터리를 빼낸 후 전압을 측정하여 확인하여 교체를 한다(배터리 전압을 확인 할 때에는 멀티미터 기능 중의 하나인 배터리 체크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 멀티미터의 커버를 덮고 나사를 잠그고 고무덮개를 씌운다.
- 예비퓨즈가 있는 모델의 멀티미터라면 예비퓨즈(사진 참조)를 사용해서 교체를 해도 된다.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사용법]
1.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할 때 다음 사항을 주의하지 않으면 잘못된 값을 읽거나 기기의 고장으로 오인하게 된다.
- ×5, ×10 버튼이 눌러져 있으면 배수만큼 확대된 파형이 나타난다.
- Invert 버튼이 눌러져 있으면 뒤집힌 파형을 관측하게 된다.
- 전압과 시간을 측정할 때 VOLTS/DIV, TIME/DIV의 미세조절(variable) 손잡이는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려 cal 위치에 두어야 한다.
- Trigger mode: NORM에 두면 신호의 진폭이 작을 때 파형이 나타나지 않는다.
- Intensity가 최소로 설정이 되어 있으면 파형이 보이지 않는다.
- 수평과 수직의 위치조정(POSITION)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 파형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오실로스코프의 AC-GND-DC 전환 스위치를 [AC]로 설정하면 입력신호는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를 지나게 되어 있다. 입력신호에 직류와 교류가 섞여 있을 때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교류성분만 관측하는 데는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필터로 인하여 파형의 변형(특히 10Hz 이하의 낮은 진동수이거나 사인파가 아닌 경우)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상황과 같은 경우가 아니면 항상 [DC]에 두고 측정을 하는 것이 좋다.
2.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직류전원공급기(Dc power supply) 사용법]
정전류상태 표시등(CC)
정전압상태 표시등(CV)
♠ 전원공급기의 제조회사나 모델에 따라 정전압 또는 정전류 상태 표시 방식이 다를 수도 있다.
[함수발생기(Function generator) 사용법]
[실험 방법 요약]
실험 1. 직류전압측정
(1) 멀티미터를 직류전원공급기와 연결하여 직류전압을 측정한다.

(2) 오실로스코프를 직류전원공급기에 연결하여 직류전압을 측정한다.
실험 2. 교류전압측정
(1) 멀티미터를 함수발생기와 연결하여 교류전압을 측정한다.
(2) 오실로스코프를 함수발생기에 연결하여 교류전압을 측정한다.
실험 3. 진동수(주기)측정
오실로스코프를 함수발생기와 연결하여 교류전압의 주기 및 진동수를 측정한다.
실험 4. 저항측정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색저항의 전기저항을 측정한다.
실험 5. 전류측정
직류전원공급기에 색저항을 연결하고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직류전류를 측정한다.